이전글대로 변화의 속도에 다르기 때문에 소스포지나 코드서치를 통해서 얻은 Lib를 직접 사용하는 것보다 중개자 클래스(이것이 좀더 확장되면 새로운 Layer가 된다.)를 도입하는 것은 현명하다. 그런데 변화의 속도만으로 판단한다면 아마도 모든 Java Core Lib에 대해 중개자 클래스를 도입해야 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변화의 속도 못지않게 중요한게 한가지 더 있다. 언젠가 다시 나올 7계인 호출의 빈도를 말하는 - 객체는 객체자체로서의 아닌 다른 객체에서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자주 보이는가가 더 중요하다.이다. 이전에서 말한바와 같이 양적인 차이는 질적인 차이를 유발한다. 만약에 단지 몇번 호출하고 말것이라면 굳이 번거로운 길을 갈 필요는 없다. 그러나 아주 많다면 그것이 new ArrayList() 라도 중개자 클래스(혹은 메소드)를 만들어서 하는게 도움이 된다.
인간은 분류하는 동물
호출 빈도의 증가는 단순히 양적인 증가 이상의 의미가 있다. 서랍안에 물건이 단 6개만 있다면 책장에 책이 7권정도라면 그럭저럭 괜찮다. 하지만 하나의 서랍안에 물건이 37개라거나 한칸에 책이 76권이라면 서랍과 책장이 어질러져 있다고 느낀다. 그래서 Brian Buchanan은 Theory of library classification = 문헌 분류 이론의 한국어판 서문에서 “아마도 패턴과 순서에 대한 관심은 우리 인간들이 타고 나는 모양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을 분류하는 동물 (classifying animal) 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카오스(혼돈) 에 대한 두려움을 바탕으로 하고있고, 또한 통제할 수 없는 환경을 통제함으로서 불안정한 세계에서 안전하다는 망상을 갖고자 하는 욕망에서 생겨나는 듯 하다.”라고 그의 분류관을 개관해 주고 있다.
양이 많아지면 우리는 분리하고 싶어한다. 사실 System.out.println의 중개 클래스를 만드는 게 좋은 이유는 첫째의 변화의 속도 보다 우리가 그 메소드를 너무나 자주 쓰기 때문에 의존하는 바가 더 크다.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이유를 생각해봐도 이는 당연한 말이다. 주로 인터페이스가 되는 객체는 인터페이스라는 말 그대로 Front Object 즉 바깥에서 가장 많이 노출되는 객체일 경우가 많고 핵심 알고리즘이 담겨서 있어서나 단지 양이 길어서가 아닌 가장 많이 불리는 객체에 대해 객체이름과 인터페이스 설계를 가장 고민해야 한다.
사실 객체는 어떻게 보면 보여지는 모습 (인터페이스)이 바로 그것의 본질이다. 현상을 이해하는데 본질과 작동원리 (구현)에 대한 이해보다 표면의 관찰, 즉 통신수단으로서의 인터페이스가 중요하다.
'Framework > 아키텍쳐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ond Program Effect (0) | 2009.07.17 |
---|---|
여섯번째 계 (0) | 2009.07.14 |
한줄짜리 함수 (0) | 2009.07.06 |
예언? (0) | 2009.06.12 |
패키지의 설계 원칙 (0) | 2009.06.08 |